내부 무선 네트워크와 의료 EMR 전자차트 프로그램의 상관 관계 안내
① Sample Image는 일반적인 한의원의 내부 네트워크 구성 사례
② 유무선공유기 or 무선공유기의 연결방식에서 한의원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음
③ 의료 EMR과 같이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는 운용소프트웨어의 특성은 '네트워크 연결 상태'에 따라서 접속 가변성이 매우 높음
- 컴퓨터의 속도와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속도를 구분하여 대응
- 특히, 무선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따라, 2.4GHz 무선 네트워크 or 5GHz 무선 네트워크를 취사 선택
- 외부 웹서버 접속과 내부 무선 네트워크상의 서버 컴퓨터 ~ 클라이언트 컴퓨터간 네트워크 연결은 구분할 필요
(ipTIME 공유기 사용 예시)
PS : 서버 / 클라이언트를 구분하여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이유
① 해당 컴퓨터가 서버인지 or 클라이언트인지 구분해야 후속 대응이 가능
- 내부 네트워크가 유선 연결인지 or 무선 연결인지 확인 후 대응
- 컴퓨터의 속도와 네트워크 연결상태의 속도를 구분하여 대응
② 서버의 경우
- 서버 컴퓨터는 DB를 바로 접속하므로, 윈도우 환경이나 업데이트 관련하여 점검
③ 클라이언트의 경우
- 네트워크상의 서버 컴퓨터 ~ 클라이언트 컴퓨터간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점검